마그네틱 스위치가 탑재된 'Q1 HE' 키크론 가이드,
두 번째 언박싱 Q1 HE 🧲 |
|
|
안녕하세요, 키크론 구독자님들🙋♀️
오늘은 Q1 HE 언박싱으로 돌아온 마케터 C에요.
금방 다시 언박싱 콘텐츠를 하는 이유는 바로!
현재 프리런칭 중인 Q1 HE 키보드만의 특징을 소개하기 위해서입니다.
Q1 HE를 보여드리면서 키크론 런처로 활용할 수 있는
이 키보드의 매력적인 특징까지 보여드리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키크론과 함께 알아볼까요?☕
|
|
|
우선 무게는 약 1735g 정도로 풀알루미늄이기 때문에 상당히 묵직합니다.
포장은 이전 K10 PRO SE와 같은 방식을 하고 있네요! 비닐로 키보드가 포장되어 있고 주변에는 키보드를 보호하기 위한 스펀지가 둘러싸여 있습니다.
대신 조금 변한 게 있다면, 스펀지의 소재가 달라진 것 같습니다. 이전보다 단단하고 밀도가 있어서 충격 보호에 탁월할 것 같네요! |
|
|
C to C 케이블, 여분 키캡, A to C 어댑터, 2.4 GHz 리시버 연장 젠더,
2.4 GHz 리시버, 키캡&스위치 리무버, 스크루 드라이버, 육각 랜치 |
|
|
이 외에도 여분 나사와 가스켓, 키보드 밑에 붙이는 범폰까지 기존 구성보다 더 알차게 잘 들어있었습니다! 여분 키캡은 Mac용 키캡이 기본적으로 키보드에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Wins용 키캡으로 넣어져 있네요. |
|
|
제가 선택한 색상은 쉘 화이트 색상입니다. 이전 언박싱 제품은 같은 쉘 화이트여도 레트로 느낌의 따뜻한 색감이었다면, Q1 HE는 세련된 느낌의 쨍한 색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민트색과 진한 초록색 포인트 키캡과 화이트의 조화가 잘 어우러지는 것 같네요! 화이트 데스크에도 잘 어울려서 무난하게 어디든 잘 매치되는 키보드라고 생각합니다. |
|
|
OSA 프로파일로, OEM 프로파일과 높이가 비슷하고 SA와 같은 모양을 가졌습니다. 키캡은 이중사출 PBT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타건감을 향상해 줍니다. 또, 더블 가스켓 디자인으로 상단과 하단 케이스 사이에 실리콘 패드가 소음을 줄여주고 유연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타이핑 사운드도 향상됩니다. 만약 더 높은 유연성을 원한다면 하단의 어쿠스틱 패드를 제거하셔도 됩니다! |
|
|
Hall Effect 게이트론 2.0 마그네틱 스위치를 탑재한 키보드
초기압 40g, 바닥압 60g의 리니어 스위치
이 키보드의 대표적인 특징은 Hall Effect 게이트론 2.0 마그네틱 스위치를 탑재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스위치 내부에 자석이 삽입되어 있습니다.
Q1 HE의 스위치는 최초로 이중 레일 구조와 확장된 튜브 구조 설계, 사전 윤활로 이전보다 더 확실한 안정성과 부드러움을 보장해 줍니다. 실제로 타건을 해보니, 리니어의 부드러움과 묵직한 키압의 조합 덕분에 타건이 안정적입니다.
|
|
|
*Hall Effect(홀 이팩트)스위치: 스위치에 삽입된 마그넷과 하단 홀 센서를 통해, 키를 누르면 마그넷과 금속판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이로 인해 홀 전압이 발생하여 키 입력이 감지됩니다. |
|
|
Hall Effect 마그네틱 스위치 구조 예시
출처: Gateron 홈페이지 |
|
|
Q1 HE는 래피드 트리거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래피드 트리거 키보드란, 반응 간격이 매우 촘촘한 키보드입니다. 키보드의 스위치 입력이 해제되는 지점과 해제되었을 때 다시 입력되는 지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의 입력과 해제가 고정된 위치가 아닌, 현재 위치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한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이런 스위치의 장점은 빠른 트리거와 빠른 리셋으로, 테크닉이 필요한 FPS류 게임 또는 정확한 타이밍을 요구하는 리듬 게임에 적합하죠! |
|
|
Q1 HE의 래피드 트리거 조정은 저번 콘텐츠에서 다룬 키크론 런처에서 가능합니다.
이 키보드를 연결하면 다른 키보드에는 나타나지 않은 아래와 같은 새로운 메뉴가 등장합니다. 위의 그래프 사진은 HE 모드에서 조정한 예시입니다. |
|
|
HE 모드에 들어간다면 이렇게 스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들이 있습니다.
|
|
|
HE 모드에 들어간 뒤 하단 좌측에 '작동 포인트 설정(Set Actuation Distance)'에서 오른쪽 바를 Show로 바꿔주면 상단 키보드의 키에 설정된 숫자가 나타나게 됩니다.
0.1mm의 초정밀 감도를 각 키에 커스텀이 가능합니다. 작동 지점을 0.5mm부터 3.8mm까지 설정이 가능하고, 작동 지점을 만약 0.8mm-1.0mm로 설정하면 트리거가 짧아지고 감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키를 놓으면 재설정이 되므로 더 빠른 응답을 보장합니다! |
|
|
다이내믹 래피드 트리거는?
래피드 트리거 설정은 키보드의 스위치 입력이 해제되는 지점과 해제되었을 때 다시 입력되는 지점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키를 눌렀을 때) 트리거 거리: 키를 다시 트리거하기 위해 눌러야 하는 거리
(키가 해제할 때) 리셋거리: 키를 다시 재설정하기 위해 키를 놓아야 하는 거리
|
|
|
첫 번째 모드는 기본(Basic)모드로, 원하는 키를 하나 또는 여러 개 선택 후 오른쪽 바를 통해 감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
|
고급(Advanced)모드는 조절바가 2개로, 원하는 키를 하나 또는 여러 개 선택 후 왼쪽 바로 트리거 거리, 오른쪽 바로는 리셋 거리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
|
'원클릭 다중 커맨드'라고 쓰여 있는 기능은 왼쪽 사진과 같이 누르는 깊이에 따라 하나의 키에 4가지 동작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게임에서 키를 가볍게 누르면 앞으로 걷고, 깊게 누르면 달리도록 설정할 수 있어요. 또한, 손을 떼면 2단계 설정도 지원합니다. 이 기능을 통해 자신만의 조합을 만든다면 FPS와 같은 게임에서 유리하겠죠? |
|
|
'아날로그 게임패드' 메뉴는 키보드의 배열을 마치 조이스틱과 같이 버튼을 선택해서 세팅할 수 있습니다. 또, 바로 오른쪽 '커브' 메뉴를 통해 키의 민감도를 리니어, 곡선 등 원하는 커브로 조정하여 다양한 커스텀을 즐겨보실 수 있을 거예요. |
|
|
Q1 HE가 데스크에 잘 어울리나요?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컴팩트한 배열 덕분에 공간 차지 없이 깔끔한 것 같아서 맘에 들었습니다.
게임을 하시는 분들에게 좋은 배열이기도 해서 이번 마그네틱 스위치와 해당 키보드의 배열은 최고의 조합 같다고 느꼈네요! 또, 키보드 내부의 구성 요소들이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설계했기 때문에, 각 구성 요소를 원하는 대로 커스텀도 가능하다고 하네요...! 핫스왑도 가능하니 여러분의 취향껏 나만의 키보드를 커스텀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
|
오늘의 언박싱은 여기까지입니다!😎
오늘의 언박싱 리뷰는 어떠셨나요?
또 새로운 키보드가 출시된다면 다시 언박싱으로 돌아와 보겠습니다!
참고로 현재 Q1 HE는 프리런칭 진행 중으로,
스토어에서 제품을 판매하지 않고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그럼 오늘도 키크론 가이드를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언제든 아래 의견 남기기 버튼을 통해
질문과 다양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키크론 키보드’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의견을 남겨주시면 더 좋은 콘텐츠로 찾아뵐게요!
|
|
|
키보드 그 이상의 가치를 담아, 키크론 (Keychron)
|
|
|
|
|